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노는 사람 Play In

프로필사진
  • 글쓰기
  • 관리
  • 태그
  • 방명록
  • RSS

노는 사람 Play In

검색하기 폼
  • 전체 (3368)
    • 공지 (4)
    • 가요 (124)
    • 건강 (62)
    • 공업 (1)
    • Game (57)
    • 공연 (39)
    • 과학 (60)
    • 교육 (12)
    • 글짓기 (8)
    • 글쓰기 (1)
    • 대중문화 (2)
    • 도시 (1)
    • 독서 (130)
      • 버리는 책 (19)
      • 읽고 싶은 책 (0)
    • 돈놀이 (43)
    • 만화 (180)
    • 문방구 (39)
    • 미술 (20)
    • 법 (15)
    • 블로깅 (72)
    • 사진 (130)
    • 삽화 (8)
    • 수상스포츠 (4)
    • 수학 (4)
    • 가전 (7)
    • [생활] (114)
      • 가구 (1)
      • gadget (4)
      • 생활 (102)
      • 시계 (5)
      • 화장품 (2)
    • 집짓기 (3)
    • 시사 (37)
    • 심리학 (8)
    • SF (28)
    • IT (155)
    • 역사 (46)
    • 연극 (34)
      • Director's Note (14)
      • Stage Manager (9)
      • Play Directing 번역 (8)
    • 여행 (47)
    • 예술 (100)
    • 영화 (57)
    • 철학 (32)
    • 옛날이야기 (3)
    • [언어] (187)
      • 논어 번역 (14)
      • 라틴어 (11)
      • 민족문화추진회 (8)
      • 아랍어 (1)
      • 언어학 (5)
      • 영어 (9)
      • 외국어 (2)
      • 일본어 (1)
      • 팔리어 (1)
      • 한국어 맞춤법 (40)
      • 한국말 속의 일본말 (10)
      • 한문과 중국고전 (78)
      • 훈민정음 (7)
    • 요리 (218)
    • 음료 (18)
    • 음모론 (44)
    • 자전거 (174)
    • 저자별 번역판 목록 (8)
    • 전통 (131)
    • 정치 (17)
    • 종교 (188)
    • 죽음 (45)
    • 직업으로서의 공부 (54)
    • 캠핑 (29)
    • 코미디 (31)
    • Podcast (4)
    • 프라모델 (40)
    • 기타 (55)
    • 잡생각 (384)
    • 나 (54)
  • 방명록

종교 (188)
기독교 경전

기독교란 무엇인가? 헬레니즘 문화를 만나 발전한 유대교를 예수와 바울이 개변한 것. 유대교와 마찬가지로 유대교 경전을 절대시 하나, 유대교와 달리 전승은 없음. 그러나 이후 신약을 바탕으로 독자적인 신학을 발전시킴. 즉 기독교는 유대교의 경전을 전통적인 전승 없이 독자적으로 해석, 발전시킨 종교라고 볼 수 있음. 나쁘게 말하면 아류작, 좋게 말하면 창조적인 발전. 그런데, 기독교가 교리를 만드는 데 사용한 경전 판본은 그리스어로 번역된 70인역..

종교 2014.07.01 08:29
대한예수교장로회 주요 단체

연도 이름 신학교 분파 이유 신도수* 1952 고신(고려파) 고신대학교(옛 고려신학교) 신사참배 거부자들이 기존 교단에서 오히려 축출되어 만듬 46만 1953 기장 한신대학교(옛 조선신학교**) 김재준의 성서비평학 수용 1960 통합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교회협의회(WCC) 가입 찬성 285만 합동 총신대학교*** 세계교회협의회(WCC) 가입 반대 295만 1961 호헌 호헌총회신학교 합동에서 분리 2만 1..

종교 2014.06.21 03:38
대한예수교장로회 소속 교회가 많은 이유

같은 동네에도 ‘대한예수교장로회’라고 간판 붙여 놓은 교회가 몇개씩 있는 경우가 많아서 분명히 하나 빼고는 다 가짜일 거다… 라고 생각했는데, 알고보니 모두 진짜였음. 1907년 독로회*(독노회)부터 시작한 대한예수교장로회는 대한민국 최대의 개신교 종파인데, 긴 역사동안 교리 차이 등의 이유로 이합집산을 거듭했음. 그런데 특이게도, 조직을 떠난 후에도 ‘대한예수교장로회’라는 이름을 그대로 쓰는 경우가 대부분임. ‘고신’, ‘합동’, ‘통합’, ..

종교 2014.06.16 23:37
시아파 수니파 분포

http://www.kbcc.asia/bbs/board.php?bo_table=b05&wr_id=31 인터넷에 돌아다니는 그림. 누가 그린 건 지는 모르겠다. 중동만 표시되어 있어서 좀 아쉬운데, 옆의 파키스탄과 아프가니스탄, 리비아 등도 표시되어 있으면 더 좋을 거 같다.

종교 2014.06.15 16:24
종교와 조직

요즘 언론에 이단 종교에 대한 보도가 많다. 이단 종교에 대한 이야기는 교리에 대한 토론으로 이어진다. 그러나 종교 이론은 이해하기 매우 어렵기 때문에, 일반 신도가 교리를 판단한다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털끝에서 내용이 갈린다는 말이 거짓이 아니다. 오히려 관점을 사회로 돌려, 교단이 똑바로 운영되어 있는지 살펴보는게 종교를 고르는데 더 도움이 될 수 있다. 우선은 현대 사회에서는 사회의 행복을 추구하는게 기본적인 요구이기 때문일테고, 두번째..

종교 2014.05.21 06:11
잡담

우리나라 기독교 교육은 대충 이런 식임: 기독교는 위대한 서양 문명을 만든 재료로 꼭 배워야 하는 것입니다! 그러니까 성경 던져줄테니 잘 읽으세요! 카톨릭이나 장로교나 다 마찬가지. 그러나 이건 신자 고르기 위한 어장 관리지 교육이 아니다. 이런 방법으로는 맹목적인 신도만 만들게 되는 거 아닐까. 즉 그 의미는 가르치는 경우가 없고, 본인도 잘 모른다는 얘기. 한국에 성경의 뜻을 알려준다며 접근하는 신흥 교단이 한두개가 아닌 게 다 이유가 있다. ..

종교 2014.05.12 20:29
은사중지론

구원파에 대해 웹서핑을 하다가 은사중지론(은사중단론)이 중요한 키워드라는 생각이 들었다. 은사중지론은 예수 또는 사도 승천 후에는 예수 또는 사도가 행했던 기적이 일어나지 않는다는 주장으로, 인간이 일회적으로 존재했다는 관점에서 출발하는 거 같다. 나아가 예수가 가르친 신약의 내용들, 그것을 반복적으로 따라하는 전통적 종교행위를 부정하는 매우 급진적인 사상이라고 할 수 있다. 어찌보면 자유주의 신학과 유사한 점이 있다고도 볼 수 있고, 여기까지는..

종교 2014.05.04 08:15
나자로

기독교 전도하던 사람들과 교목들이 죽음을 이기고 부활한 건 역사상 예수 하나니까 믿어야 한다고 주장을 했는데, 신약만 봐도 한 사람 더 있네? 얼척없음. 예수는 승천했으니 여기와서 누군가를 다시 살리진 않겠지.

종교 2014.04.20 21:58
사마리아인

지금은 착한 사람의 대명사로 쓰이지만, 성경에서 사용되는 뉘앙스를 잘 생각해보면, 유대인들이 나쁘게 여기는 사람의 대명사였음을 짐작할 수 있다. 유대인은 로마 식민지 이전에도 여러 민족들과 나라를 접했는데, 왜 유독 사마리아인을 나쁘게 여겼을까? 그것은 사마리아인이 유대인과 가장 가까운 이웃이고, 공식적으로 혈연관계일 뿐 아니라, 심지어 유대교까지 믿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다만 종교에 대한 입장이나 풍습이 미세하게 달랐을 것으로 추측된다. 즉 ..

종교 2014.04.14 08:21
불교의 부에 대한 입장

불교를 보면 재미있는 게, 다른 종교와 달리 부(富)에 대해 뭐라 딱히 말이 없다. 어짜피 세속에 대해서는 별 말이 없긴 한데. 이건 불교 이전에 인도 전통 종교(바라문교라고 해야 하나? 잘 모르겠다)도 그런데, 왕이 정치를 잘해 부가 쌓이고, 상인이 장사를 잘해 돈을 벌고, 학자가 명망이 높아 많은 학생에게 수업료를 받고 컨설팅비를 많이 받는게 전혀 문제될 것이 없다. 물론 뭐 석가모니 생전에도 절 기부한 갑부들이 중요했고, 역사적으로도 정부나..

종교 2014.04.13 17:51
율장(律藏)

스님들은 지켜야할 규칙이 많다던데, 정리된게 있으면 한번 보고 싶다는 생각을 어려서 한 적이 있다. 우리가 불교를 접할때 주로 불살생 같은 명령과 규칙을 먼저 떠올리기 때문에, 이는 불교의 실체에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일 수 있기 때문이었다. 또 일반인도 지킬 수 있는 규칙이라면 하나라도 지키면 좋지 않겠느냐는 실천적인 생각도 있었다. 그런데… 나는 그 문서를 수십년간 볼 수도 들을 수도 없었다. 물론 대장경을 처음부터 끝까지 독파하면 그 중에 분..

종교 2014.04.13 09:04
불교와 기독교

불교에 기독교와 대치되는 부분이 있다. 기독교는 ‘제사는 언제 어디서 이렇게 꼭 지내야 함. 안 하면 너님 지옥’이라는 명령인 반면,불교는 석가모니가 바라문교를 부정하면서 교리를 설명했기 때문에, 불교는 기본적으로 상식을 의심한다. 독실한 바라문이나 신자들이 제사를 중요시 할 때, 석가모니는 ‘너 님들 제사 왜 지내셈? 제사 지내면 복받는 거 확실함? 그런 제사 방법은 누가 만든 거임?’하고 되묻는다. 두번째로는 불교가 인도철학의 토양에서 나온..

종교 2014.03.31 22:29
즉문즉답, 즉문즉설

근자에 불교에 관해 즉문즉답, 즉문즉설 하는 선생들이 계시고, 인터넷에도 강의를 올려두셔서 나도 몇번 들었는데… 물론 그 분들의 깨달음 자체는 가치있는 것이겠으나 그게 불교고 석가모니의 주장이었다는 논리 구성이 없다. 내가 보기엔 그냥 히피즘(?), 단전호흡(?), 뉴에이지(?), 참선 약간(?) 이런걸 살짝 느낀 걸 그냥 불교라고 우기고 있는 거 같다. 석가모니가 참 대단한 사람인게, 인도는 지금도 그렇지만 명상 수련 이런데서 깨달음을 얻는 ..

종교 2014.03.24 10:30
잡담

석가모니가 남긴(것으로 추정되는) 말들을 보면 확실히 말을 잘 하는 사람이었던 거 같다. 외부인과 대화를 할 때 남의 약점을 공격한다거나 하지 않는다. 오직 자신의 교리 체계에 대해서만 확고하게 이야기한다. 가끔 공격적으로 보이는 대화도 있는데, 이 역시 대부분 교리에 대한 논쟁이지 세속적인 인간의 개인사에 관한 것이 아니다. 여기저기서 큰소리 치는 그의 제자들을 본다. 신도들 앞에서 호통치는 사람, 세상이 무상하다며 시를 쓰는 사람, 당신의 개인..

종교 2014.01.29 13:02
불교

불교가 기복적이 된다면서 걱정하는 사람들이 있을 것이다. 그런데 절에서 독경을 들어보면 그렇게 될 수 밖에 없을 거 같단 생각이 든다. 당췌 무슨 소린지 알 수 없는 한자말의 나열이기 때문이다. 경전을 들어도 뜻을 모르니 교리를 이해하는 신도는 적고 주문만을 외우게 되는 거 아닐까. 사실 추천할 만한 번역본도 없는 거 같다. 물론 오랜 세월 그 한자말들을 되뇌이며 종교적 체험을 얻은 사람이 많을 것이다. 그런데 석가모니는 중국 고대 문어의..

종교 2013.08.16 04:13
일체개고

어떤 일을 하던 괴롭다, 과연 왕자의 철학.

종교 2013.07.02 15:51
이슬람의 일부다처제

카톨릭의 이혼에 대한 관점과 함께 가쉽거리가 되고 있는 것은 이슬람의 일부다처제다. 인터넷을 살짝 검색해봤다. 1. 중혼의 조건은 기존 부인과 정상적인 부부생활을 할 수 없을 때, 성적인 능력 뿐만 아니라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 불임인 경우, 고아나 과부를 부양하기 위한 경우에 가능. 2.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도 기존의 부인의 승낙이 있어야 하며, 결혼 후 차별이 있어서는 안됨. 3. 4번째 부인까지 가능 이 내용들은 코란에 명시되어 ..

종교 2012.11.30 16:14
유대교와 기독교

철학자 퍼트남(표준어 퍼트넘)과 MIT의 에릭 랜더의 종교관을 인용한 글을 우연히 보았다. http://271828.egloos.com/795109 http://271828.egloos.com/778215 이 둘은 이성을 중시하는 과학자 또는 철학자이고, 이들의 학문 경향은 무신론이라고 할 수 있지만, 반면 자신들의 전통적인 종교를 받아들이는 것을 어색하게 느끼지 않는다는 이야기. 한국 기독교 신자들의 모순적인 입장을 옹호하는 근거로 사용될 수 ..

종교 2012.11.27 16:01
카톨릭의 재혼

몇 해 전 재혼을 성당에서 한 친구가 있었는데, 생각해보니 천주교는 이혼을 인정하지 않는 곳 아닌가. 신기해서 검색을 좀 해봤다. 왜 갑자기 이게 생각났는지는 나도 모른다. 1. 천주교는 알려진 대로 이혼을 인정하지 않는다. 법적으로 이혼을 해도 천주교에서는 신자가 아직 부부인 것으로 본다. 한편 결혼의 경우에도, 법적으로 혼인신고를 하거나 예식장에서 식을 올려도, 천주교에서 인정하는 예식을 거치지 않으면 결혼하지 않은 것으로 보며, 나아가 결..

종교 2012.11.26 21:44
개신교 이단사

1. 문선명도 그렇고 정명석도 자신의 책에서나 평소 말 할 때 자신의 교리는 독자적으로 영감을 받아 만든 것이라고 이야기했는데, 돌이켜 생각을 해보니, 문선명의 원리강론에서는 김백문의 그림자를 느낄 수 있고, 정명석의 30개론은 통일교의 영향을 받았다. 생명력있는 독립적인 사상이나 종교가 만들어지기 어렵다는 점을 생각해보면, 이들이 자기만의 생각으로 종교를 만들었다기보다 이전 세대 종교인들의 영향을 받았다고 보는 것이 훨씬 자연스럽다. 물론 ..

종교 2012.09.12 23:56
개신교가 통일교를 싫어하는 이유

한국 개신교가 통일교를 특별히 싫어하는 이유는, 완벽한 이상형이기 때문이다. 교주의 신격화, 기업체와 언론사 소유, 신도들이 기부하는 돈과 노동, 기독교 성경에 대한 독자적인 해석, 결혼을 통한 신도의 사생활 통제, 대학교에서 적극적인 선교, 미국에서 완벽한 성공, 정치적 영향력, 정권과의 밀월, 반공주의, 강제적인 개종, 교회의 상속, 유명인 초청, 탈세... 끝없이 따라하고 있다.

종교 2012.09.03 07:58
카톨릭

카톨릭의 역사가 2천년이라면, 그 중 1500년은 자신들의 권력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한 것이고, 500년은 권력 가진자들의 종이되고자 노력한 것. 한국에서 이미지 관리를 잘해 평화의 종교가 되었지만, 있는 자의 편에 서는 건 카톨릭을 따라갈 자가 없을 거다. 매스컴에 빠지는 날이 없는 개신교가 최고의 반이성처럼 보이지만, 사실 최종 보스는 로만 카톨릭일 것이다.

종교 2012.08.31 21:59
염수정 대주교 용산참사 유가족 면담 거부

- http://www.catholic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7929 힘든 상황에 처한 사람을 만나기 거부하는 종교를 인정할 필요가 있을까?

종교 2012.08.30 19:21
『성경 왜곡의 역사: 누가, 왜 성경을 왜곡했는가』(2005)

1. ... 이내 나는 신약성서의 그리스어 본문의 온전한 의미와 뉘앙스는 그것을 원어인 그리스어로 읽고 연구할 때만이 제대로 이해할 수 있다는 것도 깨달았다. 후에 히브리어를 배워 구약성서를 공부할 때에도 이 사실은 마찬가지였다. 그래서 나는 그리스어 공부에 더욱 박차를 가했다. 동시에, 나는 성서의 축자영감설에 의심을 품기 시작했다. 만일 성서를 그리스어(그리고 히브리어)로 연구할 때에만 그 말씀의 의미를 온전히 이해할 수 있다면, 고전..

종교 2012.08.01 15:37
『예수 평전: ‘진리’라고 불리던 사악한 사제가 예수였을까?』(2010)

1. 이 책의 부제는 사해 문서에서 발견된 「하박국서 해석」(하박국 주석서, Pesher Habakkuk, Habakkuk Commentary)에 등장하는 인물을 말하는 것인데, 재미있게도 지금 우리에게 알려진 예수와 매우 비슷한 행적을 가지고 있다. 다만 그 글이 기원전 수세기 전에 쓰여졌다는 것만 빼고. 저자가 이에 대해 어떤 결론을 내릴 지는 끝까지 읽어봐야 알겠지. 2. 이 책은 예수의 생전 상황에서부터 사후(신자들은 부활이라고 하겠..

종교 2012.07.19 07:28
오도송

학식이 없던 중도 갑자기 중국 고대 문어(文語)로 시를 짓는다. 흔히 말에는 집착하지 않는 종교로 알려져 있어서 모순되게 느껴진다. 인도로 알려진 이 종교의 진짜 연원이 어디에 있는 지도 생각해 볼 수 있는 현상. 비슷한 경우로 미국어를 쓰는 중동 종교가 있다.

종교 2012.06.05 19:27
수정 교회 파산. LA 본당 카톨릭에 매각

http://articles.latimes.com/2011/dec/18/local/la-me-orange-diocese-20111218 http://www.koreadaily.com/news/read.asp?art_id=1301944 http://www.catholic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461

종교 2012.01.10 20:46
『비밀 일기』

가끔, 특히 겨울에, 이 촌구석에도 있는 3~4층짜리 대형교회 지부들을 볼 때 『비밀 일기』의 이 구절이 떠오른다. It is traditional for the homeless to sleep in church porches so why don’t vicars make sure that their porches are more comfortable? It wouldn’t kill them to provide a mamttress, would i..

종교 2012.01.04 18:41
카톨릭

http://article.joinsmsn.com/news/article/article.asp?ctg=1200&Total_ID=6916929 http://blog.daum.net/woore72/5170889 카톨릭에게 절대로 권력을 쥐어줘서는 안 된다. 없는 것도 있다고 하고 있는 것은 없다고 꾸미고 믿는 무리. 이건 정의구현사제단이나 일본군 출신 김수환이나 마찬가지. 자신의 종교를 세상의 모든 것보다 위에 둔 사람들이다.

종교 2011.12.17 14:34
Say No To Jejus Campaign

http://www.saynotojesus.bravehost.com/

종교 2011.12.16 09:17
이전 1 2 3 4 5 6 7 다음
이전 다음
최근에 달린 댓글
  • 좋은 정보 잘 보구 갑니다~
  • 아크릴 이제 입문해보려고 하..
  • 좋은 정보 잘보고 갑니다
  • 그때도 문제가 심각하단 얘기..

Blog is powered by Tistory / Designed by Tistory

티스토리 툴바

Tistory
로그인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톡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