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노는 사람 Play In

프로필사진
  • 글쓰기
  • 관리
  • 태그
  • 방명록
  • RSS

노는 사람 Play In

검색하기 폼
  • 전체 (3369)
    • 공지 (4)
    • 가요 (124)
    • 건강 (62)
    • 공업 (1)
    • Game (57)
    • 공연 (39)
    • 과학 (60)
    • 교육 (12)
    • 글짓기 (8)
    • 글쓰기 (1)
    • 대중문화 (2)
    • 도시 (1)
    • 독서 (130)
      • 버리는 책 (19)
      • 읽고 싶은 책 (0)
    • 돈놀이 (43)
    • 만화 (180)
    • 문방구 (40)
    • 미술 (20)
    • 법 (15)
    • 블로깅 (72)
    • 사진 (130)
    • 삽화 (8)
    • 수상스포츠 (4)
    • 수학 (4)
    • 가전 (7)
    • [생활] (114)
      • 가구 (1)
      • gadget (4)
      • 생활 (102)
      • 시계 (5)
      • 화장품 (2)
    • 집짓기 (3)
    • 시사 (37)
    • 심리학 (8)
    • SF (28)
    • IT (155)
    • 역사 (46)
    • 연극 (34)
      • Director's Note (14)
      • Stage Manager (9)
      • Play Directing 번역 (8)
    • 여행 (47)
    • 예술 (100)
    • 영화 (57)
    • 철학 (32)
    • 옛날이야기 (3)
    • [언어] (187)
      • 논어 번역 (14)
      • 라틴어 (11)
      • 민족문화추진회 (8)
      • 아랍어 (1)
      • 언어학 (5)
      • 영어 (9)
      • 외국어 (2)
      • 일본어 (1)
      • 팔리어 (1)
      • 한국어 맞춤법 (40)
      • 한국말 속의 일본말 (10)
      • 한문과 중국고전 (78)
      • 훈민정음 (7)
    • 요리 (218)
    • 음료 (18)
    • 음모론 (44)
    • 자전거 (174)
    • 저자별 번역판 목록 (8)
    • 전통 (131)
    • 정치 (17)
    • 종교 (188)
    • 죽음 (45)
    • 직업으로서의 공부 (54)
    • 캠핑 (29)
    • 코미디 (31)
    • Podcast (4)
    • 프라모델 (40)
    • 기타 (55)
    • 잡생각 (384)
    • 나 (54)
  • 방명록

문방구 (40)
연필 바르게 잡는 법

일반적으로 알려진 ‘연필 잡는 바른 자세’는 대부분 틀린 것이다.연필 잡는 자세가 아니라 바로 펜을 잡는 자세다.어른들은 자기들도 정확히 모르면서 이게 바른 자세라고 가르치고, 어린이는 연필을 꼭 써야 한다고 억지로 주장하면서 손가락에 변형을 남겼다.어린이들은 만년필로 술술 글씨를 써가면 안되고 연필로 힘들게 써야 한다고 믿는 사람들도 있었던 거 같다.그런데 연필로는 그런 자세를 유지할 수가 없다.펜은 눌러쓰지 않고 높이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이어 쓰..

문방구 2015.06.07 17:37
펜나이프(penknife)

외국 주머니칼 설명에 보면 펜나이프(penknife)라는 말이 있다. 우리나라에도 널리 알려진 빅토리녹스 제품의 작은 칼에도 그런 설명이 붙어있다.처음 봤을때 연필 깎는 용도라고 생각해서 몇번 써봤는데 문방구에서 파는 50원짜리 칼보다 더 불편해서 불평을 했던 기억이 난다.나중에 알고 보니 펜나이프는 연필 깎는 칼이 아니라 바로 깃털 펜촉을 잘라내는 작은 칼을 말하는 것이었다. 이게 일상품처럼 사용되다가 현재는 문방구로 쓰는 작은 칼을 뜻하는 말이 ..

문방구 2015.05.30 11:29
커터날 크기 비교

58도 제조사상품명폭길이각도두께줄 수모델번호핸들 모델번호 도루코30도 날9.2mm86.05mm30도0.38mm7SPA NTA型(A-Type) 薄刃9mm80mm58도0.25mmBA 도루코A커터날9.1mm79.8mm60도0.35mm13A, D, H, Z1 NTA型(A-Type)9mm80mm58도0.38mmBA 화신캇타날(소)12 도루코B커터날12.3mm85.25mm65도0.35mm13B NTH型(H-Type)12.3mm85mm65도0.38mmBH ..

문방구 2015.05.16 21:11
만년필과 애착

동서양을 막론하고 ‘특정 만년필이 아니면 글을 쓰는 맛이 안나…’라고 말하는 문필가들이 꽤 있었다. 한국의 유명 작가들 중에도 있다.이런 이야기들이 작가들의 허세 내지는 허영심이라고 생각했는데,요즘 만년필을 주로 써보니까 그 사람들 문제가 아니라 만년필이라는 요물이 만들어내는 애착이었다.컴퓨터를 많이 하는 사람이 특정 키보드나 마우스의 감촉을 선호하는 것과 마찬가지인 셈인데,자기 글씨를 직접 써내려가는 만년필은 그것들보다 훨씬 강한 밀착감을 만들어낸..

문방구 2015.05.15 22:17
어린이용 만년필

특징 비교적 최근에 형성된 시장으로, 2013년 빠이롯트 가쿠노의 성공으로 널리 알려짐. 만6~7세 정도의 아이들이 처음 글씨 쓰는법을 배울때 만년필을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름 쓰는 곳, 온라인 강좌 등 어린이를 위한 고려가 되어 있음. 집는 부분이 삼각형 모양으로 되어 있어서 손가락 위치가 고정되는 경우가 많음. 가격은 싼 편이고 품질도 가격에 비해 좋은 편으로 알려져 있음. 디자인의 특이함, 편의성, 크기 등의 이유로 어른이 사용하는 경우..

문방구 2015.05.15 21:42
만년필은 힘을 빼고 써야 함

만년필 구입한 후로 어떻게 쓰는게 옳을까 이리저리 궁리해보고 인터넷 웹서핑도 좀 해봤는데,결론은 힘을 빼고 쓰는게 맞다.힘을 빼고 쓰면 촉이 덜 닳테니까 오래 쓰기도 하겠지만만년필은 힘을 준다고 잉크가 더 나오지 않는 구조를 가지고 있기 떄문이다.분명 예전엔 세게 누르면 글씨가 굵어져서 어느정도 힘을 주고 쓰기도 했었는데,요즘 나오는 제품들을 만져보니 그런 용도를 상정한 제품들이 없다.굵게 쓰기 위해선 펜의 각도를 조절하도록 유도되어 있다.글씨를 처..

문방구 2015.05.11 16:10
PLATINUM PREPPY 만년필

일본 플래티나 만년필(プラチナ萬年筆株式会社)이 2007년 발표한 저가형 만년필.요즘 만년필에 관심이 생겨서 대형 문구점 들른 김에 한번 구입해봤다.3300원에 샀는데, 일본내 표준가격은 200엔(!)이라고 한다. 소비세 넣으면 210엔!펜촉 굵기에 따라 02=EF, 03=F, 05=M인데, 판매하는 것은 ​PPQ-200, F 펜촉 제품 뿐인 듯. 펜촉에 03이라고 적혀있는데 꼭 0.3인거 같아 보인다. EF촉 제품 곧 수입하겠다는 공지가 있는 온라인..

문방구 2015.05.09 19:30
펜글씨의 매력

만년필로 글씨를 쓰다보니 내가 어려서는 왜 펜을 별로 좋아하지 않았는지(놀랍게도 나만 해도 어려서 펜을 쓰던 세대다) 알거 같다.나에게는 글을 쓰다가 필기도구 각도와 방향을 바꾸는 버릇이 있다.볼펜이나 연필을 쓰면 문제가 없지만 펜으로 쓸 때는 방향이 바뀔때 잉크가 나오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걸 어려서는 굉장히 답답하게 여겼던거 같다. 그러나 지금은 뽀대(!)를 위해서 필기 각도를 고정할수 있는 마음의 준비가 되어있다.펜글씨로 글씨체를 교정한다는..

문방구 2015.05.01 06:06
라미 조이(Lamy Joy) 구입

갑자기 만년필 써보고 싶어서 검색해봤더니 국민 만년필 라미 사파리(Lamy Safari)라는게 있었음.그런데 개인적으로 라미 사파리 같은 디자인을 별로 안좋아함. 특히 난 이상하게 뚜껑을 뒤에 붙이는 만년필을 싫어함.마침 2012년에 나온 신제품(;)에 뒤에 뚜껑을 붙이지 않는 라미 조이(Lamy Joy)라는 제품이 있어서 좀 고민하다가 가장 싼 015를 주문했음.* 뒤에 뚜껑을 붙이지 않는 디자인은 캘리그래피용으로 정교하게 사용하라고 그렇게 나온 ..

문방구 2015.05.01 02:00
「날크립」

나는 1984년 경부터 판교정공의 날크립을 사용했다. 사용하기 시작하게 된 이유는 좀 특이한 건 한번 써보는 성격 때문에;;; 처음엔 잘 몰랐는데, 쓰다보니 좋은 점이 몇 가지 있다. 우선 클립을 재활용하게 된다. 처음에 클립 한통을 살 땐 좀 비싸게 느껴졌는데, (그래서 초기에는 아까워서 호치키스와 병행해서 사용했다) 스뎅으로 만든 거라서 녹슬지(스뎅인데?) 않으면 꽤 오래 쓸 수 있다. 왜냐면 보통 종이를 묶는 데 사용하는데, 그런 문서..

문방구 2010.06.19 19:41
이전 1 2 다음
이전 다음
최근에 달린 댓글
  • 좋은 정보 잘 보구 갑니다~
  • 아크릴 이제 입문해보려고 하..
  • 좋은 정보 잘보고 갑니다
  • 그때도 문제가 심각하단 얘기..

Blog is powered by Tistory / Designed by Tistory

티스토리 툴바

Tistory
로그인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톡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