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노는 사람 Play In

프로필사진
  • 글쓰기
  • 관리
  • 태그
  • 방명록
  • RSS

노는 사람 Play In

검색하기 폼
  • 전체 (3369)
    • 공지 (4)
    • 가요 (124)
    • 건강 (62)
    • 공업 (1)
    • Game (57)
    • 공연 (39)
    • 과학 (60)
    • 교육 (12)
    • 글짓기 (8)
    • 글쓰기 (1)
    • 대중문화 (2)
    • 도시 (1)
    • 독서 (130)
      • 버리는 책 (19)
      • 읽고 싶은 책 (0)
    • 돈놀이 (43)
    • 만화 (180)
    • 문방구 (40)
    • 미술 (20)
    • 법 (15)
    • 블로깅 (72)
    • 사진 (130)
    • 삽화 (8)
    • 수상스포츠 (4)
    • 수학 (4)
    • 가전 (7)
    • [생활] (114)
      • 가구 (1)
      • gadget (4)
      • 생활 (102)
      • 시계 (5)
      • 화장품 (2)
    • 집짓기 (3)
    • 시사 (37)
    • 심리학 (8)
    • SF (28)
    • IT (155)
    • 역사 (46)
    • 연극 (34)
      • Director's Note (14)
      • Stage Manager (9)
      • Play Directing 번역 (8)
    • 여행 (47)
    • 예술 (100)
    • 영화 (57)
    • 철학 (32)
    • 옛날이야기 (3)
    • [언어] (187)
      • 논어 번역 (14)
      • 라틴어 (11)
      • 민족문화추진회 (8)
      • 아랍어 (1)
      • 언어학 (5)
      • 영어 (9)
      • 외국어 (2)
      • 일본어 (1)
      • 팔리어 (1)
      • 한국어 맞춤법 (40)
      • 한국말 속의 일본말 (10)
      • 한문과 중국고전 (78)
      • 훈민정음 (7)
    • 요리 (218)
    • 음료 (18)
    • 음모론 (44)
    • 자전거 (174)
    • 저자별 번역판 목록 (8)
    • 전통 (131)
    • 정치 (17)
    • 종교 (188)
    • 죽음 (45)
    • 직업으로서의 공부 (54)
    • 캠핑 (29)
    • 코미디 (31)
    • Podcast (4)
    • 프라모델 (40)
    • 기타 (55)
    • 잡생각 (384)
    • 나 (54)
  • 방명록

[언어]/한국말 속의 일본말 (10)
소주 1병이 360ml인 이유

360ml가 일본 명치시대 계량형으로 2홉이기 때문이다.소주잔이 48ml인 이유는 명치시대 계량형으로 3작(勺)이기 때문이다.

[언어]/한국말 속의 일본말 2017.02.27 02:52
‘핀트를 맞추다’

‘핀트’는 네덜란드어 ‘punt’, 즉 초점(brandpunt)을 일본어식으로 읽은 것이다.현대 일본어에는 핀트그라스(+glas), 핀트링(+ring) 같은 말도 사용된다.

[언어]/한국말 속의 일본말 2015.05.19 00:40
상수와 하수

http://batta-nikki.blog.so-net.ne.jp/2005-10-07 관객석에서 봤을 때 프로시니엄 무대의 오른쪽을 상수, 왼쪽을 하수라고 한다. 일본어 上手(かみて), 下手(しもて)를 그대로 옮긴 말이다. 연출 상 오른쪽이 더 강한 인상을 주기 때문이라는 설도 있지만, 아무래도 일본 전통 공연에서 관객석에서 봤을 때 무대의 왼쪽 길에서 오른쪽의 방으로 입장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붙은 이름 같다. 영어로는 무대에서 관객석을..

[언어]/한국말 속의 일본말 2010.06.27 10:14
봉공

http://blog.livedoor.jp/miz0001/archives/51655664.html ‘봉공’(奉公)을 ‘공공, 즉 국민을 위해 봉사한다’는 뜻으로 생각하기 쉽지만, 이 말은 중세 일본에서 군주를 위해 서비스한다는 뜻으로 사용된 특수한 말이다. 즉, 여기서 ‘공’(公)은 ‘공공’(公共)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작위(爵位)에 가깝다. 근대 일본에서 덴노를 중심으로 국가가 통합되면서 국가 그 자체인 덴노를 위해 충성하는 것을 의미하는 ..

[언어]/한국말 속의 일본말 2009.12.01 22:16
평(坪)

이 단위는 한 사람이 팔과 다리를 벌리고 누울 수 있는 넓이에서 기원했다.— 위키백과: 평 (단위)坪は日本で生まれた単位であるが、かつて日本の統治下にあった韓国や台湾でも使用されている。—ウィキピディア: 坪但隨著19世紀末年日本統治朝鮮半島及台灣之後,這個面積單位亦在這些地方通行,沿用至今。— 维基百科: 坪한국사람만 '평'을 한국말로 알고 있다.이러한 기준면적이 계승되어 1874년 4월 27일에 일본에서 제정된 길이 30.303㎝의 곡척으로 사방이 6척인 기준면적의 ..

[언어]/한국말 속의 일본말 2009.10.30 23:17
히마리

'히마리'라는 말을 우리는 마치 '힘'이란 말의 순 우리말 사투리처럼 사용하곤 하는데, 실은 일본말 '시마리(しまり)'를 한국식으로 발음한 것이다. (일본말 '시'가 우리말 '시'와 '히'의 중간이라고 할 수 있다.)번역을 할 때는 일반적으로 일본어 시마리를 보통 '긴장감'으로 옮긴다. '긴장감이 없네' 같은 좀 어색한 표현을 번역물에서 쉽게 찾을 수 있는데, 바로 '시마리가 없다(締まりが無い)'는 표현을 그대로 직역한 것이다.즉 '히마리'는 단순히..

[언어]/한국말 속의 일본말 2009.08.05 04:12
드릴 기리

<http://shop.pitsco.com/store/detail.aspx?ID=1477>드릴날(drill bit)을 흔히 '드릴 기리'라고 부른다. ('길이'로 알아듣는 사람도 있다)아마도 일본어 '切(り)'에서 유래한 말인 듯하다. 목공, 건축 용어에 일본어가 많이 남아있다.현대 일본어에서는 드릴이나 기계톱 등의 날을 '切刃'(切り刃, きりは, 기리하)라고 한다.

[언어]/한국말 속의 일본말 2009.06.18 20:40
하마평

‘하마평(下馬評)’이라는 말의 유래를 찾아보면 조선시대 만들어진 ‘하마비(下馬碑)’에서 유래되었다는 말이 대다수다. (어느 왕 때인지 적어놓은 글도 있다.)신기하게도 일본어에도 '下馬評(げばひょう)'란 말이 있고, 한국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된다. 한국에서 일본으로 건너간 표현일까? 아니면 같은 한문을 사용해서 우연히 같은 말이 생긴 것일까? 그런데 '下马评'이란 중국말은 없고, 조선왕조실록에도 그런 말 안 나온다.http://blog.livedoor..

[언어]/한국말 속의 일본말 2009.02.28 06:43
땡깡

이거 일본말이었구나, てんかん(癲癇).간질(癎疾)이라는 뜻으로, '전간'(癲癎, 癲癇)이라는 말은 한의학에서도 사용한다. '수전증'(手癲症)이라는 말을 생각하면 '전'(癎) 자가 쉽게 이해될 듯. 일본말일 거 같다는 짐작은 했지만, 이런 의미인 줄은 몰랐다. '땡깡 부리지 마'를 굳이 한국말로 고치면 '지랄하지 마'가 되겠다. 간질을 '지랄병'이라고도 불렀다.

[언어]/한국말 속의 일본말 2009.01.30 09:52
모르모트

난 여태까지 모르모트라는게 실험에 사용되는 쥐의 특별한 종류를 말하는 것인줄 알았는데,실험에서 사용하는 쥐는 단순히 널리퍼져 있는 생쥐 Mus musculus 였다. 물론 유전적으로 따로 정리되어서 키워진 것들이긴 하지만, 아무튼 그 근본은 인간들의 생활에서 쉽게 만날 수 있는 종이었다. 일반적으로 '마우스'라고 부른다.그리고 TV 등에서 자주 보여주는 흰쥐도 모르모트가 아니라 Rattus norvegicus 로, 생쥐가 쥐과 생쥐속 생쥐종인데 비해..

[언어]/한국말 속의 일본말 2007.01.07 05:19
이전 1 다음
이전 다음
최근에 달린 댓글
  • 좋은 정보 잘 보구 갑니다~
  • 아크릴 이제 입문해보려고 하..
  • 좋은 정보 잘보고 갑니다
  • 그때도 문제가 심각하단 얘기..

Blog is powered by Tistory / Designed by Tistory

티스토리 툴바

Tistory
로그인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톡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